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_이것만알면 전부알수있다!
안녕하세요. 교육컨설팅 법인 서동훈 컨설턴트입니다.
일전에 학점은행제를 통해 전기기사 자격증 응시자격에 대해 소개해드린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이어서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응시자격을 맞추는 방법을 도와드릴까 합니다.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을 맞추셔야 하는 분들은 좋은정보 얻어가시면 좋겠습니다.
1. 전기산업기사는 왜 취득해야할까?
사실 이 내용은 일전에 전기기사에 대해 포스팅 할 때와 동일합니다.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는 자격증의 그 등급의 차이만 있기때문에 취득의 목적은 동일합니다.
보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제가 포스팅한 '전기기사 응시자격'에 관련한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2.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전기 산업기사의 경우 전기기사와는 다르게
1. 전문학사 졸업(예정)자
2. 실무경력 2년이상
3. 학점은행제를 통해 41학점 이상 이수
의 조건이 있습니다.
전기기사와는 다르게 일반적으로 2년제를 졸업하거나 2학년1학기 과정에 취득하는 자격증이기 때문에 학점은행제를 통한 자격조건 맞추는게 비교적 수월합니다.
학점은행제란?
그렇다면 '학점은행제' 라는게 무엇일까요?
다양한 산업기사/기사 자격증 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아보다보면
'학점은행제'
라는 제도와 관련된 내용들을 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라는게 무엇일까요?
학점은행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학점을 취득해서
정규 대학에서 취득한 졸업장과
동일한 효력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국가 교육제도입니다
따라서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중 세번째 내용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것이죠.
※ 학점은행제를 통해 시험 응시 가능한 전공으로 41학점 이상 가지고 있으면
시험 조건을 충족하여 응시 가능합니다! (고졸/대학중퇴 기준)
학점은행제의 장점
학점은행제가 이미 학교를 다니다가 제적을 당한 상태이거나
일을 하고있는분들에게도 제한적인 제도일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학점은행제는 100% 온라인수업이어서 직장생활과 병행도 가능하며,
다니던 학교에서 이수한 학점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수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 학력 별 평균 필요 학점 및 소요기간
고졸 - 필요학점 : 41 / 6개월 ~ 1년
학점은행제가 대학과정이라고 소개해드리니까
시작도 전에 걱정하는 분들 많으시죠?
전문 컨설턴트인 저와 함께라면 쉽게! 가능합니다!
문의 주시는 분들의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정확한 방향으로 컨설팅 도와드리고
해당 기간동안 시험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향으로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시험에 집중해야하고
자격증을 준비하는 사람은 자격증 취득에 집중해야 합니다.
나머지 준비물들은 전문적인 컨설턴트가
컨설팅 해주고 체계적으로 관리 받아야
목표한 결과를 빠르게 이룰 수 있습니다.
다년간 함께 자격증을 취득한 수많은 학생들을
베이스로 마련된 정보들을 통해
여러분을 합격의 길로 가이드 해드리겠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산림기사와 더불어 준비가능한 과정인
'나무의사' 에 대해서 좀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길라잡이 서동훈 컨설턴트였습니다 :)